생활정보

'기후동행카드' 의정부시 확대! 서울 외 가능 구간 총정리

skyjkyyy 2025. 2. 7. 06:00

 

'기후동행카드' 의정부시 확대! 서울 외 가능 구간 총정리


의정부시 확대 소식

서울시와 의정부시가 '기후동행카드' 사업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르면 2025년 여름부터 의정부시에서도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협약으로 의정부 관내 1호선 5개 역과 의정부 경전철 전 노선 15개 역에서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가능해질 예정입니다.
서울시는 12월 11일 오후 2시 10분 서울시청에서 '서울시-의정부시 기후동행카드 사업 참여 업무협약'을 맺고 양 도시 간 광역교통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논의를 나눴습니다. 이번 협약은 서울시가 기후동행카드 출시 1년 만에 7개 지역과 맺은 업무 협약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의정부시 적용 구간

의정부시 내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 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호선: 망월사, 회룡, 의정부, 가능, 녹양 (5개역)
의정부 경전철: 전 노선 15개역 (탑석, 송산, 어룡, 곤제, 효자, 경기도청북부청사, 새말, 동오, 의정부중앙, 흥선, 의정부시청, 경전철의정부, 범골, 회룡, 발곡)
7호선: 장암역 (이미 서비스 중)
또한 의정부를 경유하는 서울 면허 시내버스 8개 노선(107, 111, 1143, 1154, 노원 02, 도봉 09, 서울 09, 서울 10)에서도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서울 09'와 '서울 10' 두 개의 노선이 새롭게 신설되어 의정부시 주민들의 교통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전망입니다.

 

서울 외 사용 가능 지역 총정리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의 이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수도권 지자체들과 지속적으로 협의를 진행해왔습니다. 현재 서울 외 지역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천시: 협의 중
김포시: 2024년 3월 30일부터 적용 완료
군포시: 협의 중
과천시: 2024년 11월 30일부터 적용 완료
고양시: 2024년 11월 30일부터 적용 완료
남양주시: 2024년 8월 10일부터 적용 완료
구리시: 2024년 8월 10일부터 적용 완료
특히 김포시의 '김포골드라인'에 이어 의정부시의 '의정부 경전철'이 서비스 구간으로 포함되어, 경기 북부 지역까지 저렴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대효과

의정부시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로 46만 의정부 시민들이 무제한 대중교통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의정부시는 서울 북부와 직접 맞닿아 있어 출퇴근 등 필수 생활권의 연계성이 높습니다. 이번 협약으로 서울과 경기 북부를 잇는 수도권 교통 편의가 한층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의정부시는 경기북부의 중심지로서, 지리적으로도 서울북부와 직접 맞닿아 있어 출퇴근 등 필수 생활권의 연계가 높습니다. 양 도시 간의 교통 접근성이 매우 높은 만큼, 이번 협약은 '서울동행버스' 서울 09번, 서울 10번 2개 노선 신설에 이어 이동편의 증대와 지역 균형 발전의 이정표가 될 전망입니다.

 

향후 계획

서울시는 앞으로도 기후동행카드의 이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지자체, 중앙 정부, 코레일 등과 적극적으로 협의할 계획입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수도권 광역교통이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게 됐다"며 아직 동참하지 않은 지자체들의 참여를 독려했습니다.
이번 의정부시 확대로 기후동행카드의 활용성이 더욱 높아질 전망입니다. 서울 지하철, 서울 버스, 공항철도 등 다양한 노선과의 연계로 시민들의 교통 편의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후불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개시

한편, 서울시는 최근 충전 없이 사용 가능한 '후불 기후동행카드' 서비스를 개시해 시민 편의를 대폭 개선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기존 선불 방식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사용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달라진 점에 대한 시민들의 궁금증 해소를 위해 Q&A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카드 발급을 고려하는 시민들은 이를 참고하면 유용할 것입니다.
이처럼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의 확대와 서비스 개선을 통해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동시에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친환경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지역으로의 확대와 서비스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