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화재예방법 가장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달! 겨울철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과 대처법

skyjkyyy 2024. 12. 11. 09:00

 

12월, 가장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달! 겨울철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과 대처법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는 최근 3년간의 화재 발생 통계를 분석한 결과, 12월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이라고 밝혔습니다. 12월에 발생한 화재는 1,513건으로 전체 화재의 **9.4%**를 차지하며, 인명피해 역시 가장 많았습니다. 특히, 부주의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었고, 겨울철 건조한 날씨가 화재를 더 위험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12월 화재 예방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12월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1. 가스밸브 점검: 외출 전에 가스밸브를 잠그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겨울철 난방기기 사용이 잦아지면서 가스 누출로 인한 화재 위험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2. 전기기기 안전 사용: 전기 히터, 전열기기난방기기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안전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기기 주변에 가연성 물질을 두지 않도록 하고, 사용 후 반드시 전원을 끄는 습관을 들이세요.
  3. 화재 예방 점검: 겨울철에는 전기용품가스기기의 점검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전선이 노출되어 있거나, 기기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면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전문가에게 점검을 요청하세요.

겨울철 화재 발생 원인과 예방 대책

부주의는 여전히 화재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12월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부주의는 일상적인 실수나 작은 실수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씨 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전기 제품을 잘못 사용해 화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아파트주택 등의 주거시설에서의 화재가 많으므로, 생활 환경에서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화재 발생 시 대처 방법

화재가 발생하면 신속한 대처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아래와 같은 대처 요령을 숙지해 두세요.

  1. “불이야!” 크게 외쳐 다른 사람에게 화재를 알립니다.
  2. 화재경보 비상벨을 눌러, 경고를 울리며 즉시 대피를 유도합니다.
  3.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 불길이 엘리베이터에 닿을 경우, 전기가 끊겨 갇히거나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계단을 이용해 대피하세요.
  4. 연기가 많을 때: 연기가 심한 경우, 젖은 수건으로 입과 코를 막고 낮은 자세로 이동하세요.
  5. 119 신고 시, 간단명료하게 상황을 설명하고 주소를 정확히 알려야 합니다.

겨울철 화재 예방을 위한 시민의 역할

겨울철은 화재 위험이 더 높아지는 시기입니다. 특히, 12월전기적 요인으로 인한 화재가 많아지는데, 이는 난방 기구나 전기 용품 사용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겨울철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사소한 부주의를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기 난방 기기, 가스 기기, 전열기기 등은 반드시 안전하게 사용하고, 외출 전에는 가스밸브전기 제품을 점검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마무리

12월 화재 예방은 우리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됩니다. 화재는 예고 없이 찾아올 수 있지만, 겨울철 안전수칙을 잘 지키면 화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전기 난방기기, 가스기기의 사용 시 안전 점검을 철저히 하고, 화재 대처법을 미리 숙지하여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12월 화재를 예방하고, 안전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12903

 

화재 가장 잦은 달은 12월! 대처요령 미리 알아두세요

서울시대표소통포털 - 내 손안에 서울

mediahub.seoul.go.kr